2022개정 '금융과 경제생활' 성취기준 진술분석 > 세미나

본문 바로가기

세미나

2022개정 '금융과 경제생활' 성취기준 진술분석

발표자 : 이경호

페이지 정보

작성자 : Kmembers DATE : 25-03-23 21:57 조회 : 23회

첨부파일

본문

[서론]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경제 영역에서 주요하게 눈에 띄는 부분 중 하나는 ‘금융과 경제생

활 과목의 신설이댜 이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어 10대 범교과 학습주제 중 하나로 경제·금융

교육’이 유지되었으며(교육부, 2022. 12. 22.),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이러한 국가·사회적 요구사항을

반영한 결과(온지용, 2023: 146)로 볼 수 있댜 ‘금융과 경제생활의 신설에 따라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경제 영역은 기존 ‘경제’ 괴목에 더하여 또 하나의 고등학교 과목을 포함하게 되었다.


전세계적인 경제 위기나 금융 시장의 변화, 디지털 사회의 도래 등이 개인의 금융 역량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변화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OECD(2014: 14-18)에서는 개인의 금융

역량이 강조되는 이유를 다양한 금융 상품과 서비스의 공급과 수요, 정부에서 개인으로의 위험 부담

의 변화, 금융 결정에 대한 개인 책임의 확대로 제시하며, 학교 금융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한국에서도 이러한 금융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에 따라 금융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이

어져 왔고, 2021 년 금융소비자보호법이 제정되며 금융교육 정책을 심의·의결하는 기구로 금융교육협

의회가 법제화된 바 있다(이윤호, 2021: 17).


이러한 필요성으로 ‘금융과 경제생활’이 선설되었으나, 이것이 학교 현장의 교육으로 직결되는 것은

아니다. 교육과정의 실행은 교사가 교육과정의 의미를 파악하고 해석하는 과정을 통해서 일어난다는

점(백남전, 2013)에 비추어 볼 때, 개정 교육과정의 의도가 학교 현장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교육과

정을 이해하는 과정이 선행된댜 그렇기에 교육과정은 그 취지와 방향성을 명료하게 반영하여 제시하

고 있어야 한댜 특히나 교과서 개발이나 학교 수업과 가장 직접적으로 맞닿은 요소는 성취기준으로

볼 수 있다(최정순·설규주, 2014: 2). 이 같은 관점에서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여러 영역의

성취기준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왔다(김경래, 2024; 김기환 외, 2023; 배회순., 2024; 이수진,

2023; 지모산최류미, 2024 등).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금융과 경제생활’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진술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성취기준의 내용 요소와 행동 요소의 특징은 어떠하며, 그 진술 방식은 어떻게

되어 있는기를 살피는 것을 통해 현행 교육과정이 그 취지에 적합한 내용을 명료히 제시하고 있는지

를 확인할 수 있다. ‘금융과 경제생활’이 신설된 과목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러한 검토가 더욱이

의미를 지닐 수 있다. 니-o}가, 현재 성취기준 상의 문제점이나 보완점을 확인하여 추후 교육과정 개정

시에 참고할 수 있는 자료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전개된댜 II장에서는 사회과의 성취기준 관련 선행연구와 금융 교

육에 대한 논의와 이러한 논의에 기반하여 신설된 ‘금융과 경제생활’의 성격과 특징을 살핀다. I11장에

서는 분석 대상과 분석 준거를 제시하고, W장에서는 분석 결과와 논의를 제시한다. V장에서는 결론

및 제언을 제시한다.


(이하 첨부파일 참조)


연구회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지적재산권 보호 오시는 길

사단법인 경제교육단체협의회   /   대표자 : 박재완   /   등록번호 : 415-82-15808

Addr. : 서울특별시 성동구 독서당로 306 국민은행 금호동지점 3층

Tel. : 02.780.3458   /   Fax. : 02.755.2248   /   E-mail. : kcee1115@hanmail.net


Copyright(c) 경제교육단체협의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