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지식 측정에서 ‘모른다’ 선택지의 영향*
페이지 정보
작성자 : Kmembers DATE : 25-04-25 10:45 조회 : 41회첨부파일
본문
【요약문】개인의 금융 지식은 그 사람의 금융 행위와 태도, 투자 수익률 같은 금융
성과뿐 아니라, 금융 회복력, 금융 웰빙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금융
지식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진단하는 일은 금융교육 분야에서 가장 기본적인 연구 주
제이다. 금융 지식을 측정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선다형이나 진위형 같은 객관
식 문항은 추측 요인을 배제하기 힘들다. 순수한 추측의 결과로 정답률이 높아지는
경우 전문가나 정책 당국이 왜곡된 정보를 가지고 오판할 우려가 생긴다. ‘모른다’ 선
택지를 추가하는 넛지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응답자들의 추측 동기를 줄이고 금융 지
식의 과대평가 현상도 축소할 수 있다. 본 연구에 의하면 31개 문항으로 구성된 금융
지식 측정 도구에 ‘모른다’ 선택지를 추가할 때와 추가하지 않을 때 응답자들이 고른
선택지의 분포를 비교한 결과, ‘모른다’ 선택지가 있는 문항의 정답률이 평균 15.2%
낮다. 응답자의 개인 특성 변수들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모른다’ 선택지가 있는 측
정 도구를 적용한 집단의 평균 정답 수가 4개 적게 추정되어, 추측으로 인한 정답률
과대평가를 조정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모른다’ 선택지의 추가는 응답자
들의 선택 분포와 측정 도구의 신뢰도에도 영향을 미친다. 국민의 경제·금융 지식 수
준이 여러 조사를 통해 보고된 것보다 낮을 수 있으므로 측정 도구에 ‘모른다’ 선택지
를 추가하는 방안을 고려할 가치가 있다.
【주제어】금융 지식 측정, 추측, 과대평가, ‘모른다’ 선택지, 넛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