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 교과 역량 구현을 위한 경제 영역 성취기준 수정 방향 탐색
페이지 정보
작성자 : Kmembers DATE : 25-03-23 22:17 조회 : 37회첨부파일
본문
【요약문】 본 연구는 경제역량을 길러주기 위한 체계적인 경제교육은 교육과정 차원
에서 접근해야 하며 이를 위해 학교 수업과 평가에서 가장 실질적 지침 역할을 하는
성취기준에 역량이 고루 반영되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역량 구현을 위한 성취기준 수
정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경제 영역 내용 체계와 성
취기준을 분석한 결과 주로 비판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력, 정보 활용 능력과 관련이
있었으며 의사소통 및 협업 능력과 관련된 기능은 제시하고 있지 않았다. 또한 내용
체계에 제시된 기능 중 추론하기, 적용하기, 의사 결정하기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성취
기준 모두에서 다루고 있지 않은 반면 초등학교와 중학교 성취기준에서 다룬 제시하
기, 설명하기 기능은 내용 체계 기능에서는 다루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기능에 의사소통 능력 및 협업 능력, 의사 결정하기와 관련 있는 기능을 보
완해야 하며 교과 역량, 내용 체계 기능과 성취기준 기능 술어의 유기적 연결을 고려
할 필요가 있다. 사회과 역량 구현을 위한 경제 영역 성취기준 진술을 위해 먼저 각
역량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하위요소를 탐색하고 이를 기능과 연결
지어 도출하였다. 역량별 관련 기능들의 의미와 적용 방식을 구체적으로 탐색하고, 이
를 바탕으로 기능 술어와 내용 요소와의 정합성을 고려하면서도 사회과 교과 역량을
고루 반영할 수 있는 성취기준 수정안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서로 다른 기능 술
어들이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거나, 의미하는 바가 광범위하여 모호한 경우 기능
술어의 성격을 명료화하고자 하였다. 역량을 기능으로 구체화하고 관련 기능을 성취
기준 진술에 고려하는 것은 역량 구현을 위한 성취기준 진술을 구성하는 데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사회과 역량, 경제 역량, 사회과 교육과정 경제 영역 성취기준